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3. PMP는 무엇인가 / 추천이유 / 취득동기

취준후기/자격증-PMP

by 문과PM이안 2025. 4. 18. 02:50

본문

반응형

PMP - PMP

 

1. PMP 무엇인가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라고 하는 미국의 프로젝트 관리협회에서 주관하는 PMP(Project Mangement Professional)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자격증이다. 보통 PM(Project Manager) 경력자가 프로젝트 관리 자격을 객관적인 지표로 인증하기 위해 취득하는 자격증으로, 자격증이 있다고 해서 PM으로 취업이 가능하다기보다는, 이미 PM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을 증빙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취득하고 있다.

 


 

2. PMP 추천이유

프로젝트 관리는 IT를 비롯해 건설업, 제조업 등 모든 산업군에서 정해진 기간동안 성과를 내기 위한 활동이라면 그 성격에 관계없이 전부 프로젝트라 칭하기 때문에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라고 한다면, 어떤 위치에 터빈을 설치할지 입지조사부터 시작해, 환경영향평가, 타당성조사, 인허가 등 관련 절차 이후 시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아우를 수도 있고 일부 과정만을 칭할 수도 있지만 각 과정을 관리하는 이들이 PM(Project Manager)로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이룩했다면 이를 이력사항으로 이직 혹은 성과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실질적으로 'PM역할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음'을 객관적으로 인정받고, 증빙하는 자격증이 PMP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이력서와 면접을 통해 PM역할과 결과물은 얼마든지 증빙가능하지만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이미 일정수준의 방법론과 현업, 실무를 이해하고 있음을 이력서 1줄에 압축적으로 표기하는 목적이라고 보는 게 맞을 듯 하다. 

 


 

3. PMP 취득동기

3년간의 Business Development & Technical Sales (사업개발 및 기술영업) 경력이 있지만 이후 육아와 가정사로 인해 2년간의 공백기가 발생했다. 올해(2025년) 3월부터 재취업에 도전한 상황에서 2년 동안 놀고 먹기만 한 건 아니고, 내 자신을 돌아보고 커리어패스를 수정/보완했으며 이에 따른 결과물을 보여주기 위해 취득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특히 Technical Sales(기술영업) 위주의 경력이긴 하나 사업개발과 함께 실행했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도 여럿 같이 했음을 증빙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즉,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에 대한 관심도를 증명하는 한편, 경력과 실행능력을 간접적으로 증빙하면서 취업의지를 보여주기 위함도 있었다. 

 

즉, PMP를 활용해 이직 혹은 성과측정을 위해 '객관적인' 증거자료로 활용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PMP자격이 있다고 모두가 PM으로 취직되는 것도 아니며, 공식적으로는 PM경력 3년 이상이 증빙되어야만 PMP시험 접수자격이 주어진다.

 

개인적으로는 기존 기술영업(Technical Sales) 경력을 활용해 PM으로 취업방향을 틀기 위한 백업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PMP를 취득했다. 국내기업에서는 PMP의 인지도가 생각보다 굉장히 제한적이긴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외국계 Developer로의 이직을 최종 종착지로 삼고 있기 때문에 투자라 생각했다. 

 

문과(국제학)이기 때문에 보다 PM의 자질에 대해 객관적인 자료가 뒷받침되야 취업이 유리하리라 생각해서 취득한 점도 없지 않다.

 

(특히 공백기가 2년이나 있기 때문에 공백기에 놀고만 있지 않았다고 어필하기 위해 부랴부랴 취득한 점도 부정할 수 없다.)

 

다음글: 

2025.04.18 - [취준후기/자격증-PMP] - 4. PMP 난이도 및 공부기간

 

전체글 모아보기: 

2025.04.11 - [취준후기/자격증-PMP] - 0. PMI-PMP 초단기[2주] 취득후기 (몰아보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